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네트워크] L3(network layer)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IP, ARP, ICMP, IGMP로 구성된다. network layer protocol IP ARP ICMP IGMP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는 IP 헤더를 추가한 IP 데이터그램으로 동작한다. 상위 계층의 패킷에 IP 주소 정보를 캡슐화(encapsulation)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하위 계층에서는 패킷의 헤더 정보를 확인 후 헤더를 제거하는 역캡슐화(decapsulation)하여 상위 계층에 전송한다. ARP(주소 변환 프로토콜)란 무엇인가? ARP란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논리 주소인 IP주소를 물리 주소인 MAC주소와 매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보자. H1 이라는 호스트가 H2라는 호스트에게 데.. 더보기
도대체 이 날 무슨 일이 있었던거죠...? 평소 1분에서 많아야 5분 오는 블로그에 갑자기 65분이나 찾아오시다니... 더보기
[TCP 혼잡]Bufferbloat 이 글은 2011년 11월 29일 acmqueue에 등재된 bufferbloat에 관련된 내용을 짧게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원본은 https://queue.acm.org/detail.cfm?id=2071893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ufferbloat 네트워크 분야에서 종단 간 지연(End to End Latency)은 통신 속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간의 통신을 한다고 하면 누구나 한번쯤은 TCP/IP라는 단어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TCP에서는 종단 간 지연을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congestion control(혼잡 제어) 기법들을 이용하는데 대표적으로 slow-start(슬로우 스타트)이다. slow-start는 여러 네트워크들이 동시에 통신하면 네트워크 장치(netwo.. 더보기
블로그에 생각보다 많이 오시네요... 점점 올라가는게 뿌듯하네요 좀 더 열심히 해야겠어요! 더보기
[네트워크] IPv4와 IPv6 IPv6 1) IPv6가 필요한 이유 : IPv4는 약 43억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일반인, 혹은 직장에서 사용하는 주소(A클래스 약 1600만개, C클래스 256개)는 턱없이 부족하며, 잘 쓰이지 않는 주소들(D, E클래스)도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주소가 고갈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각각에 IP 주소를 할당해야 하는데 안그래도 모자란 주소가 더욱 부족해졌다. 2) IPv6의 주소 개수 IPv4의 경우, 32비트로 구성되어 약 43억개의 주소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나 IPv6는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천문학적인 숫자이며, 60억 인구 기준 1인당 약 5천만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IPv6의 특징 .. 더보기
[네트워크] 라우터에 대하여 라우터 Layer-2 스위치만 있는 네트워크는 모든 컴퓨터와 스위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게 된다. 허브나 스위치는 네트워크를 분할할 수 없지만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분할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분할한 뒤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의 IP주소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는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설정하는 것으로 기본 게이트웨이라고 한다. 라우팅 테이블 현재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라우팅의 경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는 라우팅 테이블에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라우팅 테이블은 자동 등록, 수동 등록 모두 가능하며 자동 등록은 대규모 네트워크, 수동 등록은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은 R.. 더보기
[대학원 논문용] Bufferbloat와 TSN에 대한 정리글 대학원 논문 작성을 위해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네트워크 쪽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delay의 최소화, 즉, 빠른 통신이다. 수신지에서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빠르게 보낼수록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나의 건물 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LAN(Local Area Network)환경이 아닌, 지역 간의 통신이나 국가 간의 통신에서는 여러 네트워크 장비를 거치게 되고 해당 네트워크 장비에는 내가 보낸 데이터 이외에도 많은 데이터들이 오가므로 트래픽이 많아 지연(delay)이 발생하게 된다. * 종단간 지연(End to End Latency) - time taken for a packet to be transmitted accross a network from source to desti.. 더보기
[대학원 과제] Extended Euclidean Algorithm(확장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한 모듈러 역원 구하기 with Java 앞의 포스팅에 앞서서 확장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한 모듈러 역원 구하는 방법을 코드화하였습니다. 해당 방법을 코드화 하여 구현하였으며 과제로 나온 문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를 Java로 코드화하였을 때, 결과가 올바르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드는 아래 Repository에 담아 두었습니다. https://github.com/ahrizwell/myRepository/blob/java/extendedEuclideanInverse.java ahrizwell/myRepository Everything I did. Contribute to ahrizwell/myRepositor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물론 연산속도.. 더보기